바로가기 메뉴
컨텐츠바로가기
주메뉴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컨텐츠

게시판 리스트 페이지

  • 트위터로 보내기
글자크기
직원에게 몇 달간 잠시 쉬라는 회사, 법적 문제 없나
2015-10-15 16:06:02
아이콘 1848
조회수 22,184
게시판 뷰



경력직 영양사인 A씨는 회사를 옮기고 3개월째 되는 날, 강제 휴직을 당했다. 이 회사 사장은 A씨가 회사의 분위기 형성에 도움이 안 된다며 5개월만 쉬고 회사가 안정되면 다시 나와달라고 했다.

 

얼마 전부터 A씨는 신입 영양사를 뽑아 교육을 담당했는데, 사장이 자신보다 급여가 적은 신입 영양사에게 모든 업무를 맡겨 인건비를 절감하려는 속셈으로 보인다. A씨는 회사의 월급과 복지가 다른 회사보다 좋아 그만두고 싶지는 않은데, A씨가 회사에 계속 다닐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정당한 이유 없어 휴직 명령할 수 없다.

 

근로기준법 제23조 제1항에 따르면 사용자는 근로자에 대해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휴직·정직·전직·감봉·징벌 등 부당한 해고 등을 하지 못한다. 이 사례에서 강제휴직도 근로계약과 상관없이 명령하는 경우에 해당하기 때문에 A씨는 사장의 요구에 따르지 않아도 되며, 강제로 휴직하더라도 그간 받던 임금을 그대로 받을 수 있다.

 

만약, 회사의 경영난으로 인해 근로자를 고용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어떨까. 이런 경우에도 근로기준법 제46조에 따라 사업주는 일정 기간 근로자에게 휴업수당으로 평균임금의 70% 이상을 지급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근로자가 업무 외의 질병이나 기타 개인적인 사유로 인해 근로를 하지 못할 경우에는 무급 휴직으로 처리되지만 근로자의 귀책사유 없이 사업주가 일방적으로 휴직을 요구한다면 휴업수당을 지급해야 한다.

 

한편, 최근 경영악화에 따라 사업주가 휴업수당을 제대로 지급할 수 없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용노동부에서는 고용유지지원제도를 통해 휴업수장의 일부를 일정기간 지원하고 있다.



변호사닷컴 법률뉴스는 누구나 일상생에서 부딪힐 수 있는 사건·사고에 대해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작성한 변호사의 소견입니다.
따라서 법규정 해석에 대한 이견이 있을 수 있으며, 법적 효력이 없습니다.
<저작권자© 변호사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추천 스크랩
목록

법률뉴스 더보기

법률 뉴스 리스트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지금 활동중인 변호사

더보기

  • 데이터가 없습니다.
  • 대한민국 법원
  • 서울중앙지방법원

HELP 변호사닷컴 사용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Top

변호사닷컴 서비스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