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바로가기
주메뉴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컨텐츠

게시판 리스트 페이지

  • 트위터로 보내기
글자크기
개인정보 유출로 생긴 채무, 갚아야 할 의무 있을까
2015-07-25 14:53:22
아이콘 1467
조회수 18,082
게시판 뷰



어느 날, 최 씨는 자신의 명의로 대부업체에 300만원이 대출된 사실을 알게 됐다. 최 씨의 명의로 계좌를 개설한 조 씨는 인터넷 뱅킹에 필요한 자료까지 받아 온라인을 통해 대출했고, 3자가 최 씨 계좌로 들어온 대출금을 모두 빼냈다.

 

이에 최 씨는 대부업체를 상대로 채무부존재 확인소송을 내 승소했다. 대부업체 측은 최씨 명의의 공인인증서 인증을 통해 본인 여부를 확인해 대출계약이 체결됐고, 최씨 명의 계좌로 돈이 송금됐으므로 전자문서법 등 관련 규정에 따라 유효하게 성립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재판부는 3자가 최씨를 가장해 권한없이 대출을 받았으므로 대부업체 주장처럼 적법한 대출계약이 이뤄졌다고 볼 수 없고, 최씨에겐 대출금 채무가 없다"고 밝혔다.

 

최근 개인정보를 도용당해 피해를 보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온라인 상담게시판을 통해서도 문의가 자주 들어오는데, 이 사례와 달리 자발적으로 신분증을 대여하는 경우 상황에 따라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다.

 

몇 달 전, 친구에게 신분증을 빌려주는 바람에 빚을 지게 된 청년이 상담을 의뢰했다. 평소 절친한 사이였던 친구가 사업상 급한 일이라며 잠시 대출을 한 후 갚겠다는 말에 신분증을 빌려줬는데, 대출을 받은 뒤 친구는 돈을 갚을 생각을 하지 않았다.

 

이 경우, 친구가 신분증을 이용해 범죄를 저지르면 신분증을 빌려준 청년도 같은 혐의를 받는다. 사례에서 친구는 공문서부정행사죄와 신분증을 이용해 대출에 필요한 각종 서류를 작성한 것이므로 사문서위조 및 위조사문서행사죄가 성립해 처벌을 받는다.

 

청년의 경우, 친구가 청년의 신분증을 이용해 적법한 절차를 거쳐 대출을 했으므로, 친구가 돈을 갚지 않는다면 그 빚은 고스란히 청년의 차지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항상 개인정보 보호에 유념하고 신분증은 절대 대여하지 말아야 한다.



변호사닷컴 법률뉴스는 누구나 일상생에서 부딪힐 수 있는 사건·사고에 대해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작성한 변호사의 소견입니다.
따라서 법규정 해석에 대한 이견이 있을 수 있으며, 법적 효력이 없습니다.
<저작권자© 변호사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추천 스크랩
목록

법률뉴스 더보기

법률 뉴스 리스트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지금 활동중인 변호사

더보기

  • 데이터가 없습니다.
  • 대한민국 법원
  • 서울중앙지방법원

HELP 변호사닷컴 사용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Top

변호사닷컴 서비스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