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바로가기
주메뉴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컨텐츠

게시판 리스트 페이지

  • 트위터로 보내기
글자크기
회 먹고 탈 났을 때 배상 받으려면…
2018-10-01 11:39:44
아이콘 1299
조회수 26,194
게시판 뷰
 음식점에서 잘못된 음식을 먹고 탈이 났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답은 생각보다 간단하다. 인근 보건소나 병원 등을 빨리 찾아 무엇이 잘못됐는지 따져 증거를 남겨놓는 것이다. 그래야 음식점 주인에게 손해배상을 요구할 수 있다. 시간이 조금이라도 흐르면 피해를 입증하지 못할 공산이 크다는 점도 잊지 말아야 한다. 




 
폭염이 한창이던 지난 7월, 오랜만에 가족들과 동해안으로 놀러 간 A씨와 그 가족은 동해 바닷가까지 와서 그냥 갈 수 없다는 마음에 저녁식사로 회를 먹었다. 그런데 회를 먹고 집에 돌아온 후부터 A씨와 그의 아내, 아들은 복통과 설사에 시달렸다. 횟집에는 갔지만, 회는 안 먹고 생선구이를 먹은 두 딸은 아무런 이상이 없는 걸로 봐선 회에 문제가 있는 게 분명했다. 이틀을 앓아누웠다가 겨우 정신을 차린 A씨는 횟집으로 항의전화를 했지만, 횟집 주인은 횟집 주인은 “실컷 먹고는 엉뚱한 소리를 한다”면서 되레 증거를 대라고 소리쳤다. 

일상생활에서 우리가 흔히 겪을 수 있는 일이다. 이럴 때 과연 A씨는 횟집으로부터 보상을 받을 수 있을까. A씨가 회를 먹고 복통과 설사가 일어난 게 확실하고, 횟집 주인이 잘못을 곧바로 인정한다면 치료비 전액을 보상받는 건 당연하다. 횟집 주인이 식료품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것으로 봐서 ‘과실책임’을 물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음식점들은 대부분 음식물배상책임보험에 가입돼 있고, 보험사로부터 치료비를 배상받기 때문에 절차가 까다롭지도 않다. 

문제는 A씨의 경우처럼 횟집 주인이 잘못을 인정하지 않을 때다. 이런 경우, 음식점이 음식물배상책임보험에 가입돼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보험료 상승 등의 이유를 들어 보험 처리를 거부하기도 한다. 이럴 때 A씨는 민사상 손해배상청구를 통해 배상을 받을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A씨가 제대로 배상을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그건 바로 ‘회를 먹어 복통과 설사가 발생했다’는 인과관계를 입증하는 것이다. 이를 입증하지 못한다면 배상을 받기는 매우 어렵다. 따라서 음식점에서 음식을 먹고 몸에 이상이 생겼다면 신속히 보건소나 관할 위생당국에 신고해 관련 증거를 확보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인과관계가 입증된다면 치료비 배상 외에 ‘불완전이행’에 따른 배상도 요구할 수 있다. 불완전이행이란 채무자가 채무이행의 행위를 했지만 온전히 이행하지 않아 채권자에게 부가적인 손해가 발생한 경우를 의미한다. A씨의 사건을 여기에 대입해보면 횟집 주인은 A씨에게 회를 제공하고 돈을 받았지만, 사실은 문제가 있는 회를 제공해 탈이 났다. 따라서 횟집 주인은 아무런 문제가 없는 회를 제공해야 할 자신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것에 해당한다. 불완전이행으로 인해 더 큰 손해가 발생했을 경우, 채권자(A씨)는 채무자(횟집 주인)에게 그 손해의 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채무자의 불완전이행에 따른 손해배상청구권은 본래의 급부를 청구하는 것(급부청구권)과는 별개다. 다시 말해 A씨는 횟집 주인에게 손해배상 이외에도 “신선한 회를 다시 제공하라(급부의 이행)”는 요구를 할 수 있다는 거다. 물론 A씨는 회를 거부하고 횟값을 돌려달라고 할 수도 있다. 

A씨가 인과관계를 입증하지 못할 경우는 어떻게 될까. 아마도 횟집 주인은 “음식점에서 음식을 먹고 탈이 난 것이 아님에도 허위의 사실로 배상을 요구했다”고 주장할 수 있을 거다. 횟집 주인의 주장이 받아들여진다면 되레 공갈죄를 뒤집어쓸 수도 있다는 걸 명심해야 한다. 


변호사닷컴 법률뉴스는 누구나 일상생활에서 부딪힐 수 있는 사건·사고에 대해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작성한 변호사의 소견입니다.
따라서 법규정 해석에 대한 이견이 있을 수 있으며법적 효력이 없습니다.

<저작권자© 변호사닷컴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추천 스크랩
목록

법률뉴스 더보기

법률 뉴스 리스트
가해자 CCTV영상 제출한 피해자, 벌금형 받은 이유는?
폭행을 당한 피해자가 재판에서 승소하기 위해 제출한 CCTV영상 때문에 졸지에 범죄자가 됐다.   국가기관의 청원경찰인 이 씨는 직장동료인 김 씨에게 폭행을 당해 고소했다. 김 씨는 1심에서 유죄 선고를 받고, 재판은 항소심으로 이어졌다. 이 ...

[형사.범죄]

이혼 시 ‘재산분할 포기 각서’…법적으로 허용될까
지난 2013년, 결혼 12년차인 주부 A씨는 남편 B씨와 이혼하기로 합의했다. A씨는 합의와 동시에 위자료를 비롯한 재산분할을 청구하지 않겠다는 각서를 작성해 남편에게 줬다. 하지만 이혼 성립 후 A씨는 재산분할을 했다면 자신이 수천만원 이상을 받을 ...

[이혼.가정]

일본서 ‘여성 재혼 금지기간’ 위헌 판결…한국은?
지난 18일 일본은 이혼 후 6개월로 돼 있는 재혼 금지 기간을 100일로 단축했다. 지난해 12월 이혼 후 6개월 동안 재혼하지 못하도록 한 일본 민법 733조가 위헌이라는 판단 아래 법이 개정된 것이다.   이에 따라 혼인 후 200일 후 출산하면 현 남편의 ...

[이혼.가정]

끊임없이 드러나는 아동 학대, 제도 마련과 더불어 이웃신고 필수
최근 자녀를 폭행하고 살해한 사건이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 15일에는 친엄마가 자녀를 장시간 폭행하다가 숨지자 암매장한 사건이 5년 만에 밝혀졌다. 그 이전에는 목사 부부가 딸을 폭행해 숨지자 시신을 11개월 가까이 집안에 방치하며 가출했다고 ...

[형사.범죄]

빌라로 들어온 외부인…’주거침입죄’ 성립 여부
형법에서 ‘주거침입’은 사람이 머무는 일정한 공간을 침해할 뿐만 아니라 주거의 평온과 안전을 침해해도 범죄가 성립한다.   지난 2014년 김씨와 일행 한 명은 돈을 빌려 간 이씨와 연락이 되지 않자 이씨가 살고 있는 다세대주택을 찾았...

[형사.범죄]

‘빗자루 교사 폭행사건’ 폭로한 학생도 법률 위반?
지난해 말, 경기도에 위치한 모 고등학교에서 남학생 3명이 약 6개월 동안 기간제 교사를 폭행한 사실이 밝혀져 국민들의 충격을 자아냈다.   이 사실은 같은 반에 재학중인 학생이 스마트폰 동영상을 통해 온라인 게시판에 올리면서 화제가 됐다...

[형사.범죄]

어린이 교통사고, 성인보다 손해배상금 적은 이유는?
지난 2월 22일 경찰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지만 어린이 사망사고는 급증했다.   교통사고를 당하면 피해자는 치료비 전액과 손해배상금을 청구할 수 있다. 교통사고를 일으킨 운전자가 보험 또는 공...

[교통사고]

택시에서 내리다가 오토바이와 충돌, 누구 책임?
최근 오토바이를 타고 가던 40대 남성이 택시에서 하차하던 승객이 연 뒷문에 부딪혀 발목을 크게 다쳤다. 이 사고로 오토바이 운전자는 전국개인택시운송 사업조합 연합회(이하 연합회)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냈다.   이 사건에서 판사...

[교통사고]

아내의 지나친 ‘교육열’ 이혼사유 될까
최근 지나친 교육열로 이혼소송을 당한 아내가 있어 네티즌의 화제를 모으고 있다.   결혼 13년차, 주말 부부로 지내는 남편 A씨는 지인에게 아내의 교육열이 심하다는 이야기를 전해 들었다. 사립교사 교사인 아내는 아이를 새벽까지 재우지 않...

[이혼.가정]

도로교통법 개정, ‘난폭운전자’ 형사처벌 대상
2월 11일부터 개정된 도로교통법에는 난폭운전 규정이 신설돼 난폭운전자를 형사 처벌할 수 있게 됐다. 이전에는 난폭운전이 신고되더라도 처벌 조항이 없어 운전자를 처벌할 수 없었으나 개정된 법률에는 난폭운전 시 1년 이하 징역이나 500만원 이하...

[교통사고]

연애 중 혼인신고…헤어진다면 ‘혼인 무효’vs‘이혼’
얼마 전 결혼을 앞두고 자신이 벌써 혼인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 남자의 사연이 화제를 모았다.   2년 전, 4개월 사귄 여자친구와 당시 유행하던 혼인신고서를 작성한 것이 화근이었다. 남자가 옛 여자친구에게 전화해보니 당시 20살이었던 옛 여자...

[이혼.가정]

월수입 숨겨도 이혼사유…부부는 재정상태 공유해야
20년째 결혼생활을 한 A씨는 가정법원에 이혼소송을 냈다. 한의사 남편 B씨는 한의원을 10년간 운영하면서 A씨에게 한의원의 수입과 지출을 알려주지 않고, 생활비도 일정하게 주지 않았다. 반면 자신의 어머니에게는 한의원 수입의 일부를 수시로 내줬...

[이혼.가정]

딴살림 차린 남편이 청구한 이혼소송, 법원이 허용한 까닭
지난 2월 9일, 서울고등법원은 15년 전 다른 여성과 바람을 피우고 살림까지 차린 남편이 청구한 이혼소송에서 이혼을 허가했다.   2001년, A씨는 18년간 결혼생활을 한 아내 B씨와 자녀 두 명을 놔두고 외도한 여성과 살림을 차렸다. 5년 뒤, A씨는 B...

[이혼.가정]

패키지 여행 중 사고시 여행사에게 책임 물을 수 있을까
국내 경기의 불황 속에서도 해외 여행객 숫자는 매년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여행객 숫자가 많아지는 만큼 사고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데, 최근 패키지 여행 도중 부상을 당한 한 여행객에 대해 여행사가 손해배상을 하라는 판결이 선고돼 주...

[민사.기타]

불륜 저지른 공무원, 해임 처분할 수 있을까
최근 불륜으로 인해 해임 처분을 받은 A씨가 소속부처 장관을 상대로 제기한 소송에서 승소 판정을 받았다.   공무원인 A씨는 2012년부터 유부녀 B씨와 2년 동안 불륜관계를 지속했다. 이 사실을 알게 된 B씨의 남편은 B씨에게 A씨와 만나지 못...

[행정사건]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지금 활동중인 변호사

더보기

  • 데이터가 없습니다.
  • 대한민국 법원
  • 서울중앙지방법원

HELP 변호사닷컴 사용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Top

변호사닷컴 서비스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