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바로가기
주메뉴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컨텐츠

서브 페이지

게시판 리스트입니다.
남편이 3년 째 행방불명이에요. 이러면 자동이혼이 되는 건가요?
 자동이혼이라는 것은 없습니다. 남편이 3년 째 행방불명이면 재판이혼의 요건 중 배우자의 생사가 3년 이상 분명하지 아니한 때에 해당하기 때문에 소송 진행이 가능하게 되어 재판이혼으로 이혼을 진행하실 수 있을 뿐이지 요건에 해당한다고 자동적으로 이...

[이혼.가정] | 2020-03-31

이혼 소장을 받은 후 제가 할 수 있는 대응이 답변서와 반소장이 있던데 답...
답변서는 소송을 제기한 원고의 주장에 대하여 답변을 달아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는 것입니다. 반면 반소장은 원고의 주장 외에 본인의 주장을 더 추가적으로 제출할 수 있는 것으로, 소송이 진행되고 있는 과정에서 피고가 원고에게 재 소송을 제기하기 위해 작...

[이혼.가정] | 2020-03-31

이혼 소장을 받고 답변서를 작성하려고 합니다. 답변서는 어떻게 작성해야...
  원고가 작성한 소장에서 자신의 과오가 너무 크게 부풀려졌다 하는 내용은 답변서를 제출함으로써 다시 수정하고, 원고가 숨긴 과오를 드러내어 파경에 이른 직접적인 원인이 내가 아니라 원고에게 있다는 주장을 하셔야합니다. 하지만 이때, 자신의 주장...

[이혼.가정] | 2020-03-31

이혼 소장을 작성할 때, 객관적으로 작성하지 않고 주관적 의견이 들어간 ...
  우리나라는 이혼청구에서 유책주의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즉, 이혼의 상대방에게 유책사유가 있기 때문에 이렇게 이혼소송을 제기 하는 것이다. 라는 내용이 필요한 것이죠. 따라서 재판 이혼이 가능한 사유에 해당해야 하기 때문에 소송을 제기한 ...

[이혼.가정] | 2020-03-31

이혼 소송을 제기한 원고가 제출한 소장이 제가 답변서를 제출하지 않은 채...
  이혼 소장을 받아보시면 본인이 알고 있던 사실과는 다른 내용이 적혀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소장을 작성할 때 있었던 사실을 객관적으로 작성하지 않습니다. 원고의 입장에서 서운했던 점, 억울했던 점, 사소한 잘못을 크게 과장하여 유리할 ...

[이혼.가정] | 2020-03-31

저는 배우자와 이혼을 원하지 않는데도 이혼소송 답변서를 제출해야하는 ...
  네, 일단 이혼소송이 들어오면 답변서를 제출하는 것이 맞습니다. 특별한 이혼사유가 없는 상황이라 하더라도 상대 배우자가 이혼을 요구하는 경우라면 최대한 빨리 상대방이 제출한 이혼소장을 수령하여 빠른 시일 내에 답변서 제출을 하고, 답변서의 내...

[이혼.가정] | 2020-03-31

배우자로부터 이혼소장을 받았습니다. 답변서를 꼭 제출해야하나요?
수령한 소장의 내용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무조건 소장을 받은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제출해야합니다. 30일 이내에 답변서를 제출하지 않는다면, 법원에서는 이혼소송을 제기한 원고의 요구를 그대로 수용하겠다는 의미로 간주하여 무변론선고기일을 잡아 원고, ...

[이혼.가정] | 2020-03-31

재판상 이혼은 어떤 절차를 거쳐서 하게 되나요?
  재판이혼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가정법원에서 조정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조정과정에서 조정이 된다면 그대로 이혼이 성립되겠지만, 의견이 계속 대립한다면 소송절차로 이행되며, 이때부터 이혼소송이 진행되게 됩니다. 이혼소송이 진행되면 ...

[이혼.가정] | 2020-03-31

조정신청서는 어떻게 작성하는 것인가요?
  조정신청서를 작성할 때, 배우자와 결혼한 시점과 별거의 시점, 재판상 이혼사유 중 어떤 사유에 해당하는지, 자녀가 있다면 양육권과 양육비는 얼마나 청구하는지, 부부의 공동재산이 얼마나 되고 그 재산언제 배우자와 결혼했고 언제부터 별거를 하기 시작...

[이혼.가정] | 2020-03-31

조정이혼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을까요?
네, 첫 번째로는 배우자의 생사를 알 수 없거나 일부로 소장을 받지 않아 소재지 파악이 어려워 공시송달[법원이 송달할 서류를 보관해 두었다가 당사자가 나타나면 언제라도 교부할 뜻을 법원 게시장에 게시하는 송달방법]이 아니면 배우자를 소환할 수 없어 조...

[이혼.가정] | 2020-03-31

조정신청서를 제출해야하는 가정법원이 어디인가요?
1. 부부가 같은 가정법원의 관할구역 내에 보통재판적이 있는 경우에는 그 가정법원 2. 부부가 마지막으로 같은 주소지를 가졌던 가정법원의 관할구역 내에 부부 중 어느 한쪽의 보통재판적이 있는 경우에는 그 가정법원 3. 위 1.과 2.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로서 부...

[이혼.가정] | 2020-03-31

조정이혼의 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합의서를 작성하셔서 가정법원에 ‘이혼조정신청서’를 접수하고 나면 이혼의 당사자 두 분 모두 자녀양육교육을 들으셔야합니다. 그 후에 교육확인서를 이혼조정이 진행되는 재판부에 직접 제출하시거나, 변호인에게 전달합니다. 전달된 자료를 재판...

[이혼.가정] | 2020-03-31

여러 이혼의 방법중에 조정이혼을 선택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조정이혼은 다른 소송방법과는 달리 숙려기간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조정 기일에 부부의 의견이 합치가 되어 조정조서를 작성하게 되면 그대로 이혼이 성립되기 때문에 조정은 간결한 절차를 통하여 이혼을 함에 있어서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아 이혼 당사자...

[이혼.가정] | 2020-03-31

이혼의 방법을 찾아보다가 조정이혼이라는 것이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
  조정이란 분쟁관계인 사이에 조정위원회 등이 개입하여 서로 간 대화를 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여 화해를 이끌어 내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화해란 분쟁을 종식시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혼하지 않도록화해를 시키는 것이 아닌 원만하게 이혼을 진행할 수 ...

[이혼.가정] | 2020-03-31

혼인 기간 중에 재산분할을 하지 않는다는 각서를 썼었습니다. 이제 이혼을...
  아니요, 부부사이에 재산분할에 대한 각서를 작성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각서의 내용이 한쪽에게 너무 유리하게 작성된 경우에는 협의가 된 것으로 보기 어렵다고 지적한 재판부의 견해가 있으며 추가로 재판부는 "이혼으로 인한 재산분할청구권은 이...

[이혼.가정] | 2020-03-31

이혼을 하는 과정에서 남편이 저에게 위자료를 주기 때문에 재산분할을 적...
과거에는 위자료를 산정할 때 재산분할을 함께 하여 산정하는 것이 관례였습니다. 하지만 「민법」(법률 제4199호, 1990. 1. 13. 공포, 1991. 1. 1. 시행)이 개정되면서 재산분할제도라는 내용이 새롭게 도입되면서 위자료와 재산분할을 각각 청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이혼.가정] | 2020-03-31

아내가 외도를 하면서 이혼을 하려합니다. 근데 제대로 가정생활도 하지 않...
  혼인파탄에 책임이 있는 배우자인 경우에 그 재산을 주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재산분할은 혼인 파탄의 이유가 배우자의 부정행위라 하더라도 유책의 내용과는 별개로 혼인의 기간 동안 서로의 노력에 따라 얻은 재산에 대해서 재산의 명의와는...

[이혼.가정] | 2020-03-31

배우자의 부모가 계속해서 결혼생활에 사사건건 간섭하고, 나중에는 폭언...
네, 혼인 파탄의 책임이 있다면 배우자뿐만 아니라 제3자라 해도 그 제3자에 대하여 위자료를 청구 할 수 있습니다. (「민법」 제750조, 제751조, 제806조, 제843조 및 「가사소송법」 제2조제1항제1호다목 2) 위자료는 혼인파탄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고, 책임이 어느 ...

[이혼.가정] | 2020-03-31

배우자의 외도로 협의이혼을 했습니다. 그런데 빨리 이혼을 하고 싶은 마음...
배우자에게 유책이 있어 혼인 생활이 파탄이 나서 이혼이 성립된 것이기 때문에, 협의이혼 후라도 배우자에게 위자료를 청구 할 수 있습니다.(「민법」 제806조 및 제843조). 하지만 이는 이혼이 성립된 이후 3년 이내에만 가능하며, 3년이 지난 경우에는 따로 위자...

[이혼.가정] | 2020-03-31

지금 배우자와 사실상 이혼 상태로 지낸 지 10년 정도 되었습니다. 하지만 ...
    사실상 이혼은 이혼신고만 하지 않았을 뿐이지 별거와 부부생활의 실체가 소멸되었다고 보는 상태입니다. 현재 우리나라 법은 법원의 확인을 받아 행정관청에 이혼신고를 한 경우, 법원의 이혼판결을 받은 경우에만 이혼의 효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이혼.가정] | 2020-03-31

지금 활동중인 변호사

더보기

  • 데이터가 없습니다.
  • 대한민국 법원
  • 서울중앙지방법원

HELP 변호사닷컴 사용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Top

변호사닷컴 서비스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