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바로가기
주메뉴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컨텐츠

게시판 리스트 페이지

  • 트위터로 보내기
글자크기
무고죄 성립 판단기준
2015-06-30 17:59:17
아이콘 109
조회수 1,948
게시판 뷰
분류 형사.범죄



무고죄는 타인으로 하여금 형사처분 등을 받게 할 목적으로, 객관적 진실에 반하는 허위사실을 신고한 경우에 범죄가 성립한다. 신고한 사실의 허위 여부는 그 범죄의 구성요건과 관련해 신고사실의 핵심 또는 중요내용이 허위인가에 따라 판단해 가린다.

 

 

무고죄가 성립하는 경우

 

01 타인을 무고할 경우

02 피무고자의 교사·방조·승낙에 의해 무고할 경우

03 자신의 결백을 주장하기 위해 상대방을 무고한 경우

04 시비를 가릴 목적으로 고소한 경우

05 자문을 받고도 허위사실을 신고한 경우

06 신고한 일부 허위사실이 고소사실 전체의 성질을 변경시키는 경우

07 여러 개의 사실 중 일부가 허위인 경우 그 허위사실 부분

08 범죄성립을 조각하는 사유를 숨기고 구성요건적 사실만 신고한 경우

09 금전차용의 실제용도에 관해 허위의 사실을 신고한 경우

 

 

무고죄가 성립하지 않는 경우

 

01 자기 자신을 무고할 경우

02 공범이 다른 공범에 대해 무고할 경우(그러나 공범이 다른 공범에 대해 무고하면서 독립한 형사처분 등의 대상이 되는 사실을 추가한 경우에는 무고죄가 성립)

03 타인을 형사처분 또는 징계처분을 받게 할 목적 없이 허위사실을 신고한 경우

04 객관적 사실에 반하는 것이라도 신고자가 진실이라고 확신하고 신고했을 경우

05 무고한 내용이 객관적으로 진실한 경우

06 신고한 허위사실이 범죄를 구성하지 않는 경우

07 신고한 허위사실이 친고죄로서 고소기간이 경과한 것이 신고내용에서 분명한 경우

08 신고한 허위사실에서 공소시효가 완성된 경우(그러나 공소시효가 완성됐지만 공소시효가 완성되지 않은 것처럼 고소한 경우에는 무고죄 성립)

09 신고한 허위사실이 사면돼 공소권이 소멸한 경우

10 신고사실은 객관적 진실과 일치하지만 법적 평가·죄명을 잘못 적은 경우

11 신고사실이 객관적 진실인 이상 범죄주체를 잘못 지목한 경우

12 신고내용이 사실과 다소 다르더라도 그것이 정황의 과장에 지나지 않는 경우



변호사닷컴 법률지식은 각 법률 분야에서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 하는 주제에 대해 변호사의 자문을 받아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법 해석에 대한 이견이 있을 수 있고, 개별적인 사안에는 그대로 적용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자© 변호사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추천 스크랩
목록

지금 활동중인 변호사

더보기

  • 1위
    유정훈
    변호사

    우리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고객 여러분이 당면한 문제들도 ...

  • 2위
    이세원
    변호사

  • 3위
    김현수
    변호사

    친절하고 신뢰할 수 있는 변호사가 되겠습니다.^^

  • 4위
    조정희
    변호사

    국제이혼, 아동반환, 양육권, 이혼, 위자료 청구, 재산분할 ...

  • 5위
    신동휘
    변호사

    사건에 대한 의뢰인의 그 절실한 마음을 압니다. 의뢰인의 ...

  • 6위
    허용석
    변호사

    안녕하세요. 꼼꼼하고 성실하고 치열하게 사건을 진행합니...

  • 7위
    조재호
    변호사

  • 8위
    감나영
    변호사
  • 9위
    박재정
    변호사
  • 10위
    남윤석
    변호사
  • 대한민국 법원
  • 서울중앙지방법원

HELP 변호사닷컴 사용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Top

변호사닷컴 서비스 전체보기